DH쌤께서 첫 만남에 주신 책...정말 놀랍고 감사했다.
하루 뵌 D샘은, 오빠라고 불러도 될것만 같은 만인에 대한 친근감을 선사하시는, 인문학계의 락스타, 인간 비타민! 무엇보다도 연구에 전진하시고 실질적으로 make something out of nothing 하시는 멋진 분ㅎㅎ
---
<비판이란 무엇인가 / 자기수양>은 <주체의 해석학>을 번역하셨던 심세광 선생님과 함께, 같은 오트르망* 소속의 전혜리 선생님이 번역하셔서 푸코의 주요 개념(생정치학, 지식의 고고학, 계보학, 담론 등)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면, 글 자체는 걸림없이 매끄럽게 읽힌다.
1. 이 책에서 말하는 바를 간략히 요약하자면, "권력에 대한 주체의 비판적 태도, 혹은 더 나아가 권력에의 저항은ㅡ 자기 자신/타인/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변화시키며 윤리적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구축해 나가는 지적 실천을 통해 가능하다."정도로 이야기할 수 있다.
2. 푸코는 두 강의에서 '비판'과 '자기 수양'의 등장과 그 역사를 검토하는데, 첫 번째 강의인 <비판이란 무엇인가>에서 푸코는 비판적 태도의 역사적 출발점을 15-16세기 서구 근대 사회 가톨릭 교회의 사목 활동 속에서 발전된 권력 형태('사목적 통치성')에서 찾는다.* 이는 개인의 일상적인 품행을 인도하는 권력 형태가 시민 사회 내에서 확대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데,(18)
이 장에서 “어떻게 이런 식으로, 그들에 의해, 그러한 원칙의 이름으로 통치 받지 않을 것인가?”라는 질문은 책 전체를 포괄하는 중요한 질문이다.
나는 통치 자체는 인정하지만, "이런 식으로 까지는" 통치 받지 못하겠다는 푸코의 생각에 정말 공감했다. 자본주의, 인정하지만 '이런 식'으로 흘러가자는 건 아니지. 라는 생각이 들어서랄까...'-'
3. 두 번째 강의인 <자기 수양>의 목표는 사유의 역사(개인과 진리, 의무, 자신, 타자와 맺는 관계)가 어떻게 현재의 우리를 만들었는지를 아는 것이다. 강의에서 푸코는 자기 돌봄(epumeleia heautou) 원리의 최초 철학적 구상이 플라톤이 쓴 대화편 <알키비아데스>에 등장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너 자신을 알라'는 표현은 지금까지 철학사에서 절대적인 중요성을 부여받아온 것과 달리, 자기 배려의 한 부분에 속해왔다고 말한다.
즉, <자기 수양>은 유교의 수양론을 연상케 하는 주체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푸코의 생각의 집합이다. 인간이란 고정불변의 존재가 아니라 노력한다면 끊임없이 변할 수 있는 존재라는 사실에서 주체의 윤리적 구축 개념을 이끌어낼 수 있다. 주체는 스스로 변하고자 노력할 때 이미 윤리적인 것이라는 의미이다. 결국, 자기배려와 수련의 대상은, 궁극적으로 신체가 아니라 영혼이며 그 방법은 단순한 명상이 아니라 일련의 실천이다. 그래서 윤리적 '자기 발전'이 아니라 자신을 윤리적 주체로 '구축'하는 데 초점을 둔 푸코의 강의는 오늘날 시사하는 바가 크다.
4. 흥미로웠던 부분은, 푸코가 우리 사회에서 자기와 맺는 관계가 구축되는 영역은 상당 부분 성적 경험이라고 설명하면서 그러므로 자기를 구축하는 문제와 성현상의 역사라는 문제를 분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한 부분이다. 꼭 성적 경험이 자기 자신을 형성하는데 결정적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 편이어서 그렇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권력이라는 주제를 지속적으로 탐구할 수 밖에 없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그의 성적 취향에 기인하는 것은 아닐까 하는 단순한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자기 돌봄(epumeleia heautou).그리스, 너 자신을 알라는 정언과 실천이 자기 배려와 연관. 그것에 종속되어 있었다.기독교 금욕주의에 이르러 수련적인 자기 변형이 아니라 자기 포기를 강조하면서 오늘날, 자기 배려(돌봄) 개념이 가려졌다는 해석 또한 흥미로웠다.
5. 수양하는 인간과 정치 사이에 통로를 만드려던 푸코의 노력은 높이 살만 하지만, 인간의 정치 개입을 적극적이게 하면서도 최대한 비권위주의적일 것을 요청했던 부분은 모호하다고 할 수 밖에 없는 것 같다. 그런데 이 부분은 실존의 미학이라는 윤리적인 질문을 서구회화와 연결시켰던 푸코의 예술에 대한 관심을 고려하면 또 새롭게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이 부분 나중에 잘 풀어서 다시 정리해야지...)
6. 마무리는 이 글에서 말한 것들을 종합/요약한 김우창 선생님의 글로 !
“사회생활의 필요가 아니라 자기의 삶을 보다 깊이 살고자 하는 동기에서 나오는 도덕적 추구가 결국은 사회적 도덕과 윤리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그것은 자기완성의 추구의 테두리 안에서 생각될 수 있는 도덕과 윤리이다.” 김우창, <정의와 정의의 조건>, 28.
--------------------------------------
* 오트르망: '다르게 autrement'를 뜻하는 프랑스어에서 이름은 따온 젊은 연구자들의 모임. 공부와 번역들을 함께 하며 푸코의 콜레주드프랑스 강의 번역 이외에도 알튀세르, 들뢰즈 중심으로 프랑스 현대 비판철학 전반을 연구.
논외이지만, 수업보다 자신의 연구에 전념하고 싶어하는 몇몇의 교수자들이 굉장히 부러워할 것 같은, 콜레주 드 프랑스의 사상체계사 종신교수였던 푸코 ㅋㅋ 그의 강의와 관련한 직무는 자신의 저작에 대하여 매년 12번 정도의 공개 강의를 하는 것뿐이었는데, 그 중 하나가 1969년 강의한 <저자란 무엇인가>라는 유명한 강연임.
**서양/동양철학-신 유학이 지향했어야하는 부분-문화정치-중국의 부상과 다시 처짐-덩샤오핑의 마지막말 해서도 한 번 정리해보고 싶은 부분이다.
***
푸코 사상의 핵심 개념이 ‘권력’이라는 데 대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그런데 나는 푸코의 글과 관련된 책들을 읽으면서 지속적으로 마주한 단어인 “관계”가 눈에 밟힌다. 눈에 확연하게 드러나는 권력의 현상은 실은 눈에 보이지 않는 권력, 권력 관계가 겉으로 드러난 것에 불과하며, 좀 더 정확히 표현하자면 권력은 권력자와 피권력자가 맺고 있는 관계에 불과하다.
박영욱 선생님의 말을 옮겨보자면, “푸코에게 권력은 담론의 형태로 실행되는 것이다. 따라서 권력은 담론을 필요로 한다.” 푸코는 권력을 마치 소유할 수 있는 대상물로 간주하는 것을 비판하였다. 그는 이러한 권력에 대한 입장을 권력의 경제주의라고 표현하였다. 푸코가 보기에 이러한 경제주의는 권력이 활동하는 범위를 피상적인 수준으로 제한함으로써 현실의 역학관계를 정확하게 분석해낼 수 없게 만든다.
푸코와 같은 동성애자가 권력관계에서 피지배자가 되는 것은 권력을 소유하고 있지 않아서가 아니라. 그것은 동성애자를 결코 정상적인 성의 범주로 간주할 수 없는 우리 사회의 성 담론과 관련이 있다.
'Reading & Review > 학술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본주의-아도르노-폴록 (0) | 2018.09.17 |
---|---|
미학대계 2-3: 사회주의미학_그람시 (1) | 2018.08.19 |
MCSEA_An excerpt from "Interview with Jay Koh and Chu Yuan" (0) | 2018.08.16 |
로자 룩셈부르크 (2) | 2018.08.16 |
2018-1, 여름 전공 관련 서적 (리뷰할 건 볼드체) (0) | 2018.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