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문명사에서 기록된 것은 잊혀진 것들의 바다 위에 찰랑이는 하나의 물결에 불과하다. 만의 하나라도 그가 위대하다면, 그것은 이런 자신의 사소함과 변덕, 무기력과 허황됨을 깨닫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비극적 한계의식은 삶의 이런 자기모순에 열려있다. 예술의 정신은 이런 모순의식 속에서 타자적 지평으로 나아간다. 이런 한계조건에서 우리는 언어의 불완전성이나 욕망과 충동의 불합리성과 같은. 인간의 크고 작은 결함과 맞닥뜨린다. .
.
.
이념과 현실, 믿음과 실상 사이에는 어찌할 바 없는 간극이 있다. 그리고 그 #간극 #사이에 자리한 심연에는 너무나 많은 사람들의 너무나 많은 #고통과 회환과 #절규 가 담겨있다. #비극 은 이 한계조건으로서의 고통을 담는다. 이 불가항력적 한계조건 앞에서 비극적 주체는 한계의 조건을 의식하고 응시하며 헤아리고 가늠한다. 그리고 그렇게 가늠하는 가운데 스스로 결정하고 행동하면서 그 행동의 결과에 책임지고자 한다. 이 점에서 그는 윤리적이다. .
.
.
그러나 모든 인간이 자유로운 것이 아니다. 또 인간의 #자유가 저절로 주어지는 것도 아니다. 선한 마음이 혹시 있다면, 그것은 그 후에야 찾아드는 과실인 것이다. 자유는 독단에 대한 자기응시의 용기에 있다. 자기모순의 의식과 #좌절한 #사연에 대한 #존중이없다면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할 것이다. 비극적 주체는 책임의 이 두렵고도 험난한 이행 속에서 자신의 성향과 기질을 조금씩 연마해간다. 그것은 자기 정체성의 수련과정이다.


비극에서 충돌하는 것은 단순히 하나의 허위와 하나의 진실이 아니다. 그것은 하나의 진실과 다른 하나의 진실 사이에서 일어난다. 그렇다면 이 각각의 진실은 완전한 정당성이 아니라 #부분적 정당성이라고 해야 한다. 부분으로서의 한 진실과 부분으로서의 또 하나의 진실이 서로 싸우는 것이 비극적 상황인 것이다. 이렇게 해서 갈등은 점점 격화된다. .
.
#대립 속에서 이 대립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이 대립과 대결하는 가운데 "주체성의 강렬함과 깊이"는 얻어진다. 그 방식은 상호모순된 이중성에서 일어난다. 즉 그것은 한편으로 자기를 #부정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자기를 #보존하는 데 있다. 그래서 이중적이다. 주체의 위대한 힘은 "오직 자기의 부정 속에서 스스로를 유지하는 데" 있는 것이다.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