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유물론자, 포이어바흐
유명한 법률가의 아들로 태어나 넉넉한 집안에서 모범생 시절을 보냈던 포이어바흐1)는 독일의 하이델베르크대학에서 신학 공부를 하다가 이에 실망하고, 철학으로 전공을 바꿨다. 어느 포도주 집에서 헤겔과 마주쳤지만 말 한마디 건네지 못할 정도로 수줍어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대학교수가 되려 했지만, 형편이 여의치 않자 “나는 철학자이기 때문에 철학교수로는 적당치 않다”라는 말로 스스로 위로하며 대학을 떠났다.
한때는 아내가 경영하는 도자기 공장 덕분에 경제적으로 안정되고 《기독교의 본질》이라는 저서를 통해 유명해지기도 했다. 하지만 우여곡절 끝에 결국 빈털터리가 되고 만다. 물질을 무엇보다 강조했던 유물론자가 그 물질 때문에 고통을 당하는 상황에 놓인 것이다. 겨우겨우 생을 이어가던 그는 어느 날 갑자기 발작을 일으켜 식물인간이 되었고, 마침내 쓸쓸히 세상을 떠났다.
포이어바흐는 먼저 “헤겔이 말한 절대자란 그의 철학 안에서 유령처럼 떠돌아다니는 말라죽어 버린 신학의 정신, 즉 성령에 불과하다”라고 비판했다. 이어서 그는 헤겔을 극단적인 관념론자라고 선언해 버렸다.
헤겔은 우리가 만질 수 있는 감성적 · 질료적인 것을 말하긴 하지만, 그것을 어디까지나 개념(사유)을 통해서만 본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 세상의 모든 존재(사물)들이 우리의 감각을 통해 알려지는데도, 헤겔은 감각을 철저히 무시해 왔다. 그러므로 이제 감각에게 본래의 권리를 되찾아줘야 한다는 것이 포이어바흐의 생각이다.
물론 정신이 우리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우리가 한쪽(정신)만 보고 다른 쪽(물질, 육체)을 보지 못하면 안 된다. 다시 말해서 정신이 육체를 규정한다고 말하지만, 사실 우리의 정신 세계는 이미 무의식적으로 육체에 의해 규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포크트는 “인간이란 그가 먹는 대로 된다”2)라고 말했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은 피, 심장, 두뇌 그리고 정신 기능이 되어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결정하는 것이다.
포이어바흐에 의하면, 진실로 우리 눈앞에 존재하는 것은 신이나 존재의 개념 등이 아니라 우리의 감각이 느끼는 것, 즉 소여(所與)3)다. 신이란 감성적인 것과 유한한 것이 신비화된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종교란 신이 실제로 존재해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신의 존재를 믿고 싶어 만들어낸 것이다.
말하자면 종교란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능에서 발생했다. 인간의 행복하고자 하는 본능이 신을 만들어냈다. 인간은 스스로 그렇게 될 수 없지만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상태, 즉 전지전능하고 영원한 행복의 상태를 절대자를 통해 실현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신이란 인간의 소망이 현실적인 존재로 탈바꿈한 것에 불과하다. 신이 인간을 창조한 것이 아니고, 인간이 신을 창조했다.
그러므로 종교를 통해 우리의 소망을 충족시키려는 유치한 꿈에서 깨어나야 한다. 이제부터는 종교의 환상이 아니라, 현실의 행동 가운데서 인간의 소망을 실현시켜야 한다. 이것이야말로 난폭한 자연의 위력이나 맹목적인 우연의 힘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길이다. 이제 문제는 신이 존재하느냐 않느냐가 아니라, 인간이 존재하느냐 않느냐에 달렸다. 철학은 유신론을 버리고, 인간학(anthropology)4)의 입장에 서지 않으면 안 된다. 즉 진정한 철학은 인간학이어야 한다.
그리고 다시 그 인간학이란 추상적인 관념론의 입장이 아니라, 구체적인 유물론의 입장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사유 속을 헤매는 유령이 아니라,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존재하며 행동하는 인간에 관한 학문이어야 한다. 바로 이것이 포이어바흐가 말하는 인간학적 유물론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가난한 유물론자, 포이어바흐 (청소년을 위한 서양철학사, 2008. 7. 15., 평단문화사)
'Reading & Review > 교양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철학사사연구회 _ 망각과 기억의 변증법: 세월호 1년의 고통과 기억, 철학자들이 말하다. (0) | 2018.08.17 |
---|---|
문광훈 _ 비극과 심미적 형성 (2/2) (0) | 2018.08.15 |
문광훈 _ 비극과 심미적 형성 (1/2) (0) | 2018.08.12 |
2018 상반기 읽은 책 (0) | 2018.08.10 |
오수영 _ 우리는 서로를 모르고 (0) | 2018.08.09 |